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책

재건축 재개발_ 용적률 연면적 단어 개념

728x90
728x90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27272&cid=42154&categoryId=42154

 

 

 

 

연면적

대지에 들어선 하나의 건축물의 바닥 면적의 합계

 

연면적은 건물의 모든 층별의 바닥면적으로 지하, 주차장까지 포함한다.

그러나 용적률(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의 비율)의 산정시 적용하는 연면적에는 

지하층, 지상층의 주차용 면적을 제외한 바닥면적의 합계적용

하나의 대지에 2개동이상의 건축물이 있을 경우 각동의 연면적의 합계를 적용한다

 

용적률

건축물 총면적의 대지면적에 대한 백분율

건축물의 각층의 면적을 땅면적으로 나눈 비율 

 

용적률은 대지면적 대비 건물의 연면적 비율을 의미한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건축물을 높게 지을 수 있으며 재개발이나 재건축 사업의 경우

용적률이 클수록 분양 물량이 증가해 투자수익이 높아진다.

 

 

건폐율

부지에서 건물을 뺀 여유 면적 

대지면적 가운데 최대한 건축을 할수 있는 면적 

 

역세권 건폐율이 높다(재개발필요)

변두리 건폐율이 낮다

 

 

 

 

terms.naver.com/entry.nhn?docId=1826320&cid=42151&categoryId=42151

 

건폐율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건폐율 산정시 사용되는 대지면적은 건축대상 필지 또는 부지의 면적을 말하며, 건축면적은 건물의 외벽이나 이를 대신하는 기둥의 중심선으로 둘

terms.naver.com

 

 

 

. 용도지역에 따라 용적률이 다르며 80~1,500%의 범위이며. 도시지역 주거지역은 500% 이하이다. 건축법과 국토의 이용 및 계획에 관한 법률에 규정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개별토지의 용적률은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도시계획조례로 정해놓았으므로 실제 용적률을 알아보려면 해당 자치단체의 조례를 보아야 한다. 지구단위계획에서는 기준용적률, 허용용적률, 상한용적률을 정해 놓고 세분하여 적용한다. 용적률은 건폐율과 함께 지역의 개발밀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활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용적률 [容積率, Floor Area Ratio] (부동산용어사전, 2011. 5. 24., 방경식)

 

 

terms.naver.com/entry.nhn?docId=586457&cid=42094&categoryId=42094

 

용적률

건축물 연면적을 대지면적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건축물연면적은 건축물 각층의 바닥면적 합계이다. 용적률=건축물 바닥면적의 합계/대지면적×100이다. 예로 100평의 대지에 각층 바닥 면적

terms.naver.com

 

728x90